다음 중 보고서 작성 시 페이지 번호 출력을 위한 식과 그 결과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Page, Pages 변수값은 각각 20과 80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1.
식: =[Page] : 결과값: 20
2.
식: =[Page] & " Page" : 결과값: 20 Page
3.
식: =Format([Page],"000") : 결과값: 020
4.
식: =[Page/Pages] : 결과값: 20/80
🎄20/80 으로 페이지를 표기하고 싶다면, 식: = [page] & "/" &[pages]로 작성하여야 한다.
49.
다음 중 레이블 보고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레이블은 표준 레이블 또는 사용자 지정 레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2.
여러 개의 열로 이루어지고, 그룹 머리글과 그룹 바닥글, 세부 구역이 각 열마다 나타난다.
3.
레이블 형식에서 낱장 용지와 연속 용지를 선택할 수 있다.
4.
레이블에서 이름 필드의 값에 ‘귀하’를 붙여 출력하려면 ‘{이름}귀하’로 설정한다.
🎄레이블 보고서는 레이블 크기, 레이블 형식, 텍스트 모양, 사용가능한 필드, 정렬 기준, 보고서 이름등을 지정하지만 위의 2번은 크로스탭 보고서에 관한 설명이다.
47.
다음 중 폼이나 보고서에서 사용되는 [조건부 서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하나의 컨트롤에 여러 규칙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목록에서 규칙을 위/아래로 이동해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2.
레이블 컨트롤에는 필드 값을 기준으로 하는 규칙만 설정할 수 있다.
3.
하나의 컨트롤에 대해 규칙을 3개까지 지정할 수 있으며, 규칙별로 다양한 서식을 지정할 수 있다.
4.
규칙 유형에서 '다른 레코드와 비교'를 선택하면 적용할 형식으로 아이콘 집합을 적용할 수 있다.
🎈여러 규칙이 적용되어있을 때 순서를 이동할 수 있고, 상위 내용에 우선순위가 부여된다 / 2번: 레이블 컨트롤에는 조건부 서식 불가능 / 3번 : 최대 50개 적용 가능 / 4번 : 아이콘 집합이 아닌 막대 적용 (정답 1번)
48.
다음 중 보고서 마법사로 보고서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지정할 수 있는 요약 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텍스트 속성인 필드만으로 구성된 테이블에는 요약 옵션을 사용 할 수 없다.
2.
요약 옵션은 정렬 순서 지정 단계에서 지정하는 것으로 그룹 수준과는 무관하다.
4.
테이블 간의 관계를 미리 지정해 둔 경우 둘 이상의 테이블에 있는 필드를 사용할 수 있다.
🎈 그룹 수준을 지정해야만 요약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2번)
47.
다음 중 [업무 문서 양식 마법사]를 이용한 보고서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테이블을 이용하여 세금계산서를 작성할 수 있다.
2.
테이블을 이용하여 거래명세서를 작성할 수 있다.
3.
쿼리를 이용하여 우편물 레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4.
쿼리를 이용하여 서식이 없는 세금계산서를 작성할 수 있다.
🎈우편물 레이블은 "우편물 레이블 마법사 "를 이용하여 작성한다
44.
다음 중 [우편물 레이블 마법사]를 이용한 보고서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마법사로 완성된 보고서의 [인쇄 미리 보기] 상태에서는 [페이지 설정] 대화 상자를 사용하여 레이블 사이의 간격이나 여백을 변경할 수 있다.
2.
마법사의 각 단계에서 레이블 크기, 텍스트 모양, 사용 가능한 필드, 정렬 기준 등을 지정할 수 있다.
3.
마법사의 마지막 단계에서 ‘인쇄될 우편물 레이블 미리 보기’를 선택한 경우 완성된 보고서가 [인쇄 미리 보기] 상태로 표시된다.
4.
마법사에서 사용 가능한 필드 지정 시 우편물 레이블에 추가 가능한 필드의 개수는 최대 5개이다.
🎄 우편 레이블 마법사의 각 줄에는 10개의 항목까지 추가할 수 있다. (정답 4번)
45.
다음 중 보고서의 [그룹, 정렬 및 요약] 창을 이용한 정렬 및 그룹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고서의 그룹 수준 및 정렬 수준은 최대 10개까지 정의할 수 있다.
2.
그룹 수준을 삭제하는 경우 그룹 머리글 또는 그룹 바닥글 구역에 삽입되어 있는 모든 컨트롤들은 자동으로 본문 구역으로 이동된다.
3.
‘전체 그룹을 같은 페이지에 표시’ 옵션을 선택한 경우 페이지의 나머지 공간에 그룹을 표시할 수 없는 경우 빈 공간으로 두고 대신 다음 페이지에서 그룹이 시작된다.
4.
그룹 간격 옵션은 레코드가 그룹화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설정이며, 텍스트 필드인 경우 '전체 값', '첫 문자', '처음 두 문자', '사용자 지정 문자'를 기준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그룹 머리글 또는 그룹 바닥글 삭제시 모든 컨트롤이 본문으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컨트롤들도 함께 삭제된다. (정답 2번)
48.
다음 중 보고서의 [그룹, 정렬 및 요약] 창의 그룹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나열한 것은?
1.
ⓐ, ⓓ
2.
ⓐ, ⓓ, ⓔ
3.
ⓑ, ⓒ
4.
ⓑ, ⓒ, ⓔ
🎈 a : 필드나 식을 기준으로 10개까지 지정 가능 / d : 그룹의 머리글과 바닥글을 제거해도 그룹화는 삭제 안됨 / e : 그룹을 만들려면 머리글 구역이나 바닥글 구역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해야 한다 (정답 3번)
49.
다음 중 폼과 보고서에서 설정 가능한 [조건부 서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하는 필드 값에 대한 서식을 지정할 수 있다.
2.
식이 TRUE 또는 FALSE로 평가되는 경우에 대한 서식을 지정할 수 있다.
3.
필드에 포커스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서식을 지정할 수도 있다.
4.
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의 서식은 조건을 식으로만 지정할 수 있다.
🎈 조건에 맞지 않는 서식은 조건의 식으로 만들 수 없다 (정답 4번)
55.
다음 중 제공된 항목에서만 값을 선택할 수 있으며 직접 입력할 수는 없는 컨트롤은?
1.
텍스트 상자
2.
레이블
3.
콤보 상자
4.
목록 상자
🎈 1번 : 폼이나 보고서의 원본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나 계산 결과를 표시하는 컨트롤 / 2번 : 제목, 캡션, 설명 등과 같은 텍스트를 표시하는 컨트롤 / 3번 : 데이터 목록에서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 가능 (여러 개의 값 중 하나만 선택 가능함) / 정답 4번
60.
다음 중 아래와 같은 <학생> 테이블에서 필드의 순서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자인 보기에서 <주소> 필드를 선택한 후 이동할 위치로 끌어다 놓는다.
2.
디자인 보기에서 <주소> 필드를 선택한 후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전화> 필드를 선택하여 이동할 위치로 끌어다 놓으면 <주소,취미,전화> 필드가 이동된다.
3.
데이터시트 보기에서 <전화> 필드를 선택한 후 이동할 위치로 끌어다 놓는다.
4.
데이터시트 보기에서 <주소> 필드명을 선택한 후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전화> 필드를 선택하여 이동할 위치로 끌어다 놓으면 <주소,전화> 필드만 이동된다.
🎈데이터 시트 보기에서는 <Ctrl> 키가 통하지 않는다 / 디자인 보기에서는 <Ctrl>키가 통하지만 여러 필드를 선택만 할 수 있고 이동은 불가능하다.
46.
다음 중 보고서의 각 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자주 출제되는 문제)
1.
‘페이지 머리글’은 인쇄 시 모든 페이지의 맨 위에 출력되며, 모든 페이지에 특정 내용을 반복하려는 경우 사용한다.
2.
‘보고서 머리글’은 보고서의 맨 앞에 한 번 출력되며, 함수를 이용한 집계정보를 표시할 수 없다.
3.
‘그룹 머리글’은 각 새 레코드 그룹의 맨 앞에 출력되며, 그룹 이름이나 그룹별 계산결과를 표시할 때 사용한다.
4.
‘본문’은 레코드 원본의 모든 행에 대해 한 번씩 출력되며, 보고서의 본문을 구성하는 컨트롤이 추가된다.
🎄 보고서 머리글은 함수를 이용한 집계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페이지 머리글은 표시할 수 없다.
46.
다음 중 보고서의 각 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기출 문제)
1.
보고서 바닥글 영역에는 로고, 보고서 제목, 날짜 등을 삽입하며, 보고서의 모든 페이지에 출력된다.
2.
페이지 머리글 영역에는 열 제목 등을 삽입하며, 모든 페이지의 맨 위에 출력된다.
3.
그룹 머리글/바닥글 영역에는 일반적으로 그룹별 이름, 요약 정보 등을 삽입한다.
4.
본문 영역은 실제 데이터가 레코드 단위로 반복 출력 되는 부분이다.
🎄보고서 머리글 바닥글은 그 보고서의 첫페이지와 마지막 페이지에 한번만 출력된다.
47.
다음 중 보고서의 그룹화 및 정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그룹’은 머리글과 같은 소계 및 요약 정보와 함께 표시되는 레코드의 모음으로 그룹 머리글, 세부 레코드 및 그룹 바닥글로 구성된다.
2.
그룹화 할 필드가 날짜 데이터이면 실제 값(기본)·일·주·월·분기·연도를 기준으로, 문자 데이터이면 전체 필드(기본) 또는 처음 첫 자에서 다섯 자까지 문자 수를 기준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3.
Sum 함수를 사용하는 계산 컨트롤을 그룹 머리글에 추가하면 현재 그룹에 대한 합계를 표시할 수 있다.
4.
필드나 식을 기준으로 최대 5단계까지 그룹화 할 수 있으며, 같은 필드나 식은 한 번씩만 그룹화 할 수 있다.
🎄 정렬하는 모든 필드와 식은 최대 10개까지 그룹화할 수 있으며 같은 필드나 식을 두 번 이상 그룹화가 가능하다 (정답 4번)
46.
다음 중 보고서의 보기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고서 보기]는 출력되는 보고서를 화면 출력용으로 보여주며 페이지를 구분하여 표시한다.
2.
[디자인 보기]에서는 보고서에 삽입된 컨트롤의 속성, 맞춤, 위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3.
[레이아웃 보기]는 출력될 보고서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며 컨트롤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4.
[인쇄 미리 보기]에서는 종이에 출력되는 모양을 표시 하며 인쇄를 위한 페이지 설정이 용이하다.
🎁 보고서 보기는 출력될 보고서를 미리보기 기능으로, 인쇄 미리보기와 비슷하지만 페이지 구분없이 보고서를 모두 표시한다. (정답 1번)
55.
다음 중 폼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폼 디자인 도구]의 [디자인] 탭에서 [컨트롤 마법사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2.
[레이블] 컨트롤은 마법사를 이용한 만들기가 제공되지 않으며, 레이블 컨트롤을 추가한 후 내용을 입력하지 않으면 추가된 레이블 컨트롤이 자동으로 사라진다.
3.
[텍스트 상자] 컨트롤을 지칭하는 이름은 중복 설정이 가능하다.
4.
[단추] 컨트롤은 명령 단추 마법사를 이용하여 다양한 매크로 함수를 제공한다.
🎁컨트롤은 이름 중복이 불가능하다 ( 정답 3번 )
폼
56.
다음 중 폼 작성 시 사용하는 컨트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레이블 컨트롤은 제목이나 캡션 등의 설명 텍스트를 표현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2.
텍스트 상자는 바운드 컨트롤로 사용할 수 있으나 언바운드 컨트롤로는 사용할 수 없다.
3.
목록 상자 컨트롤은 여러 개의 데이터 행으로 구성되며 대개 몇 개의 행을 항상 표시할 수 있는 크기로 지정되어 있다.
4.
콤보 상자 컨트롤은 선택 항목 목록을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나타내기 위해 드롭다운 화살표를 클릭하기 전까지는 목록이 숨겨져 있다.
🎈텍스트 상자는 바운드 컨트롤 와 언바운드 컨트롤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 2번)
59.
다음 중 폼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컨트롤 마법사]를 사용하여 폼을 닫는 매크로 함수를 실행하는 '명령 단추'를 삽입할 수 있다.
2.
폼에서 연결된 테이블의 레코드를 삭제한 경우 영구적인 작업이므로 되돌릴 수 없다.
3.
폼에 [컨트롤]을 삽입하면 탭 순서가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 순으로 자동 지정된다.
4.
[폼 디자인 도구]를 이용하여 여러 컨트롤의 크기와 간격을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을 삽입하면 사용자가 컨트롤을 삽입한 순서에 따라 탭 순서가 결정된다. (정답 3번)
60.
다음 중 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폼은 기본적으로 테이블이나 쿼리와 연결되어 표시되는 바운드 폼이다.
2.
폼 내에서 단추를 눌렀을 때 매크로와 모듈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3.
일 대 다 관계에 있는 테이블이나 쿼리는 폼 안에 하위 폼을 작성할 수 있다. (하위 폼은 다에 속한다)
4.
폼과 컨트롤의 속성은 [디자인 보기] 형식에서 [속성시트]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폼을 작성하면 기본적으로 테이블이나 쿼리가 연결되지 않은 언바운드 폼이 만들어진다.
54.
다음 중 동아리 회원 목록을 표시하는 [동아리회원] 폼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여자 회원인 경우 본문 영역의 모든 컨트롤들의 글꼴 서식을 굵게, 기울임꼴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1.
본문 영역에서 '성별' 컨트롤을 선택한 후 조건부 서식에서 규칙으로 필드 값이 다음 값과 같음, 값을 '여자'로 지정한 후 서식을 설정한다.
2.
본문 영역의 모든 컨트롤들을 선택한 후 조건부 서식에서 규칙으로 조건식을 [성별]='여자' 로 지정한 후 서식을 설정한다.
3.
본문 영역의 모든 컨트롤들을 선택한 후 조건부 서식에서 규칙으로 필드 값이 다음 값과 같음, 값을 '여자'로 지정한 후 서식을 설정한다.
4.
테이블의 데이터시트 보기에서 여자 회원 레코드들을 모두 선택한 후 서식을 설정한다.
🎈 폼 본문의 모든 컨트롤의 텍스트들에 조건부 서식을 지정할 경우, 조건부 서식에서 규칙으로 조건식을 작성한다.
59.
다음 중 폼의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팝업 속성을 설정하면 포커스를 다른 개체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폼을 닫아야 한다.
2.
'레코드 잠금' 속성의 기본 값은 '잠그지 않음'이며, 이 경우 레코드 편집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다른 사용자가 레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3.
그림 맞춤 속성은 폼의 크기가 이미지의 원래 크기와 다른 경우 다양한 확대/축소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 크기 조절 모드의 속성이다
4.
레코드 집합 종류 속성의 값이 '다이너셋'인 경우 원본 테이블의 업데이트는 안되며, 조회만 가능하다. -> 스냇숏의 설명
🎈레코드 집합 종류의 속성 (2번 정답)
다이너셋 : 원본 테이블의 수정, 편집 가능
스냇숏 : 수정, 편집 불가능, 조회만 가능
60.
다음 중 폼에서 컨트롤의 탭 순서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탭 순서] 대화상자를 이용하면 컨트롤의 탭 순서를 컨트롤 이름 행을 드래그해서 조정할 수 있다.
4.
탭 순서에서 컨트롤을 제거하려면 컨트롤의 탭 정지 속성을 '예'로 설정한다.
🎈 탭 순서에서 컨트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컨트롤의 속성의 '기타'탭에서 '아니요'를 설정해야 한다. (정답 4번)
50.
다음 중 [폼 마법사]를 이용한 폼 작성 시 선택 가능한 폼의 모양 중 각 필드가 왼쪽의 레이블과 함께 각 행에 표시되고 컨트롤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은?
1.
컬럼 형식
2.
테이블 형식
3.
데이터시트
4.
맞춤
🎈컬럼 형식 : 각 필드가 왼쪽의 레이블과 함께 각 행에 나타남 / 테이블 형식 : 각 레코드의 필드들이 한 줄에 나타나며 레이블은 폼 맨 위에 한번 표시 / 데이터 시트 : 레코드는 행으로 필드는 열로 각각 나타나는 행/열 형식 / 맞춤 : 필드 내용의 분량에 따라 각 필드를 균형 있게 배치하는 형식 (정답 1번)
53.
다음 중 기본 폼과 하위 폼을 연결하기 위한 기본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 필드와 하위 필드의 데이터 형식과 필드의 크기는 같거나 호환되어야 한다.
2.
중첩된 하위 폼은 최대 2개 수준까지 만들 수 있다.
3.
테이블 간에 관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하위 폼으로 연결할 수 있다.
4.
하위 폼의 ‘기본 필드 연결’ 속성은 기본 폼을 하위 폼에 연결해 주는 기본 폼의 필드를 지정하는 속성이다.
🎈하위폼의 개수는 제한이 없고 중첩은 최대 7번이다. (정답 2번)
56.
다음 중 폼 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개의 컨트롤을 선택하여 자동 정렬할 수 있다.
2.
컨트롤의 탭 순서는 자동으로 화면 위에서 아래로 지정된다.
3.
사각형, 선 등의 도형 컨트롤을 삽입할 수 있다.
4.
컨트롤 마법사를 사용하여 폼을 닫는 매크로를 실행시키는 단추를 만들 수 있다.
🎄컨트롤을 작성한 순서대로 탭 순서가 결정되는데, 탭순서 대화상자에서 <자동순서>단추를 클릭하면 폼이나 보고서에 삽입된 컨트롤의 위치를 기준으로 위쪽에서 아래쪽/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탭 순서가 자동 설정된다. (정답 2번)
57.
다음 중 폼이나 보고서에서 사용되는 컨트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페이지 번호’ 컨트롤을 추가하는 경우 페이지 번호식을 포함한 ‘텍스트 상자’ 컨트롤이 삽입된다.
2.
‘목록 상자’ 컨트롤은 바운드 또는 언바운드 컨트롤로 사용할 수 있다.
3.
‘로고’ 컨트롤을 추가하는 경우 머리글 구역에 ‘이미지’ 컨트롤이 삽입된다.
4.
‘예/아니요’ 필드를 추가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토글 단추’ 컨트롤이 삽입된다.
🎄 토글 단추 컨트롤은 삽입되지 않는다 / 예,아니오 필드를 추가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확인란 컨트롤이 삽입된다 (정답 4번)
59.
다음 중 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할 표시 폼을 이용하여 동일한 테이블에 대한 전체 목록과 각 레코드에 대한 단일 폼을 함께 보여줄 수 있다.
2.
[레이아웃 보기] 상태에서는 [필드 목록] 창을 이용하여 원본으로 사용하는 테이블이나 쿼리의 필드를 추가할 수 있다.
3.
일반적으로 기본 폼과 하위 폼은 일대다 관계이다.
4.
[폼 보기] 상태에서는 [컨트롤] 그룹의 ‘로고’, ‘제목’, ‘날짜 및 시간’ 등의 제한적 컨트롤만 사용 가능하다.
🎄 [컨트롤] 그룹의 '로고' , '제목' , '날짜 및 시간' 등의 제한적 컨트롤만 사용한 경우 [레이아웃 보기] 상태이며, [폼 보기] 상태에서는 데이터의 입력, 삭제, 수정등이 가능하다.
55.
다음 중 액세스의 다양한 폼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데이터시트: 행과 열로 구성된 형태로 표시하여 여러 레코드를 한 화면에 표시한다.
2.
모달 폼: 해당 폼을 전체 화면 크기의 창으로 표시한다.
3.
연속 폼: 현재 창을 채울 만큼 여러 레코드를 함께 표시한다.
4.
하위 폼: 연결된 기본 폼의 현재 레코드와 관련된 레코드만 표시한다.
🎄모달 : 모달 설정이 된 폼을 실행시키고 있는 경우 모달 폼을 닫아야만 다른 창을 실행시킬 수 있다. 모달 폼이 열려 있으면 다른 폼들은 아무것도 실행되지 않는다. -> 다양한 폼을 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정답 2번)
56.
다음 중 폼에서의 컨트롤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우편번호를 검색할 수 있는 폼에서 텍스트 상자에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고 <Enter>키를 누를 때 검색이 일어나게 하는 이벤트 속성은 ‘On Data Change’이다.
2.
텍스트 상자의 ‘컨트롤 원본’ 속성은 텍스트 상자와 테이블의 필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3.
‘자동 고침 사용’ 속성을 ‘예’로 설정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잘못 입력한 영어 단어를 올바른 단어로 자동 정정한다.
4.
콤보 상자의 ‘바운드 열’ 속성은 콤보 상자에 표시되는 열 중에서 ‘컨트롤 원본’ 속성에 연결된 필드에 입력할 열을 지정한다.
🎄 enter키를 누를때 작업을 선택하는 속성은 < enter > 키 기능이다/ 텍스트 상자에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를 때 검색이 일어나게 하는 속성은 on change (정답 1번)
59.
다음 중 폼이나 보고서에서 조건에 맞는 특정 컨트롤에만 서식을 적용하는 조건부 서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피스 2007 기준 문제 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 ⓑ
2.
ⓑ, ⓒ
3.
ⓒ, ⓓ
4.
ⓐ, ⓓ
🎄 1번 : 필드나 식을 기준으로 서식을 설정할 수 있다 / 4번 : 2개 이상이 참이면 첫번째 조건이 적용된다.
60.
다음 중 하위 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위 폼에서 여러 개의 연결 필드를 지정할 때에 사용되는 구분자는 세미콜론(;)이다.
2.
하위 폼은 단일 폼, 연속 폼, 데이터 시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기본 폼은 단일 폼 또는 연속 폼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3.
기본 폼과 하위 폼을 연결할 필드의 데이터 형식은 같거나 호환되어야 한다.
4.
[하위 폼 필드 연결기]를 이용하여 간단히 기본 폼과 하위 폼의 연결 필드를 지정할 수 있다.
🎄 하위 폼은 연속폼으로 표시할 수 있지만 기본 폼은 연속폼으로 표시할 수 없다. (정답 2번)
VBA코드
46.
다음 중 아래 VBA 코드를 실행했을 때 MsgBox에 표시되는 값은?
1.
7
2.
12
3.
24
4.
28
🎈 num = 0+0 num = 0+2 (2) num = 2+4 (6) num = 6+6 (12)가 되어 최종적으로 num=12
52.
다음 중 테이블에서 내보내기가 가능한 파일 형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엑셀(Excel) 파일
2.
ODBC 데이터베이스
3.
HTML 문서
4.
VBA 코드 (정답)
🎈테이블에서 내보내기가 가능한 파일 형식 : Excel, Access 데이터베이스, 텍스트 파일, XML, ODBC, HTML, dBASE, Paradox, Lotus1-2-3, Sharepoint 목록, RTF 파일, PDF 또는 X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