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04

정성 분석의 첫걸음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의 이해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그룹과 함께 인사이트를 도출해 낼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UX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서비스나 제품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니즈와 문제점에 대한 리서치를 기반으로 한 문제점 파악이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의 정의와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 및 UXUI 서비스 기획에 있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할까?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이란 방대한 데이터들 사이 의미있는 규칙을 발견하기 위한 그룹핑 기법입니다. 일본의 문화인류학자 카와키타 지로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리서치를 통해 수집된 정성적 데이터를 분류하고 정리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이 필요한 이유는 복잡한 데이터를 명확하게 분석하여 사..

Midjourney 미드저니 튜토리얼 가이드 [가입 방법]

최근 AI 이미지 생성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다양한 리서치를 진행하게 되었다. 그중! 나만 모르고 있던 새로운 AI 이미지 생성 툴 발견! 바로 미드저니다! 미드저니는 나의 명령어를 통해 AI로 이미지를 생성해 주는 툴이다. 간단한 방법을 통해 가입이 가능하니 오늘은 Midjourney 미드저니 튜토리얼 가이드 [가입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우측 하단 Join the Beta 버튼을 클릭! 그러면 디스코드 초대장이 전달되는데, 만약 디스코드 계정이 없다면 새로 생성해 미드저니 툴을 사용하길 바란다! 요렇게 참가를 하면 채널이 나오게 되고! midjourney 채널에 들어가서 ' /subscribe' 명령어를 입력하면 구독료에 대한 설명이 나오며 원하는 결제 수단을 선택하면 된다! 이렇게 되면 ..

공부/디자인 2024.04.02

웹사이트에 코딩 없이 3D 디자인 적용하는 방법!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3D 디자인 사이트 소개

오늘은 비개발자도 가능한, 코딩 없이도 빠르게 웹사이트에 3d 디자인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위의 영상에서는 spline이라는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https://spline.design/ Spline - 3D Design tool in the browser with real-time collaboration Spline is a free 3D design software with real-time collaboration to create web interactive experiences in the browser. Easy 3d modeling, animation, textures, and more. spline.design 스플라인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3D 디자인 및 애니메..

공부/디자인 2024.03.31

피그마 Figma 기초강좌 파해치기 [ 피그마 설치방법 ]

피그마 설치를 위해선 우선 검색창에 피그마를 입력! 피그마 공식 사이트에 들어갑니다! 홈페이지 우측하단의 login클릭 혹은 페이지 get started 파란 버튼을 클릭! 구글 로그인 혹은 계정 생성을 통해 피그마 가입을 해줍니다. 계정을 생성했다면 products -> downloads에 들어갑니다. 개인의 환경에 따라 다운받으면 끝!

성공적인 UX 리서치 방법

UX 리서처란? 사용자에게만 초점을 두는 게 아닌 실무자나 이해관계자들이 전략적인 관점에서 사용자 경험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비즈니스/ 비즈니스 맥락 등 사용자와 인터랙션 하면서 미칠 수 있는 온갖 요소들을 리서치하는 것 문제해결이 잘 되지 않았을 때 해외 교육 자료들 참가 컨퍼런스 참여 해외 선진 사례 연구 UX리서치 효용성에 대한 탐구 UX리서치를 통한 문제 해결법/ 업무 방식 올바른 리서치를 통해 적절한 시기에 공유가 되어야 하고 공유 인사이트가 실무에서 실제 유용하게 쓰여야 함 잘 전파되기 위해서는 각 팀과의 소통 중요 올바른 사용자를 만나서 리서치 진행해야 함 리서치 참여자 섭외/모집 중요 참여자 어떻게 구하는지? 아웃소싱 채널 섭외 (비용 절감 많이 됨) 설계 시 잘 진행되기 위해서는 옳은 질문..

공부/디자인 2024.03.29

웹사이트 사용 폰트 확인하는 방법!

폰트에 관한 공부를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웹사이트 내에 어떤 폰트가 사용되었고 사이즈는 어느정도 인지에 대한 물음이 떠올랐다~! 그리하여 찾아본 웹사이트 사용 폰트 확인법! 1) 원하는 홈페이지에 들어간다 2) 원하는 영역을 드래그 후 마우스 우클릭 -> 검사를 클릭 3) 오른쪽 패널 styles 확인 그러면 이렇게 폰트사이즈 글길이 폰트무게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공부/디자인 2024.02.29

웹사이트에 적합한 폰트 크기가 있을까?

웹사이트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 폰트와 관련한 질문이 들어와 그렇다면 적정한 웹사이트 폰트 크기는 어떤 것일까 라는 물음에 관련 영상들을 찾아보았다. 사용자가 누구냐에 따라 다르고 각자 서비스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비즈니스의 목표가 다른만큼 해당 영상과 글을 통해 적정한 웹사이트 폰트 크기는 무엇인가에 대한 고찰을 해보았으면 좋겠다. 사실 여기까지 영상을 보았을때도 적정한 폰트가 무엇인지에 대한 감을 찾기 어려웠다. 그러다~!! 위의 영상을 보면서 이런 식으로 폰트 사이즈를 정하고 디자인 시스템을 정의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여러 레퍼런스들을 찾아보거나 이미 만들어진 디자인 시스템을 참고해 나의 디자인에도 적용해 보는 것! 영상 속 유튜버는 여러 사이트의..

사용자 분석 UX Research 정의와 방법

https://learn.udacity.com/courses/ud509/lessons/4cac5681-ce91-4367-99e1-5c5f341e3096/concepts/8bd19b73-b47f-4af3-b243-73bd65472020 learn.udacity.com 구글 프로덕트 디자인 강의를 수강하다 사용자 리서치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는데 따로 블로그 글로 작성하면 좋을 듯하여 구글의 시니어 사용자 연구원 토너 샤론의 이야기를 기록했다. 사용자 분석 UX Research란 무엇일까? 인사이트를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사람들에게 그들의 관점과 능력을 제품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규율 조금 더 쉽게 요약하면 1.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인가 2.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3. 우리가 만든 제품을 ..

공부/디자인 2023.12.19

어떻게 와이어프레임을 만들어야 하는가

왜 와이어프레임이 필요할까? 유저가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얼마나 효율적으로 플로우를 짜는가와 함께 사용성에 앞서 미래 예측 가능 [ 기획자와 디자이너가 와이어프레임을 만들 때 고려해야 할 것 ] 기획자 : 페이지/기능/콘텐츠 기준으로 배치 디자이너: 사용성과 시각적 요소에서 고민 와이어프레임에 들어가기전 알아야 할 게슈탈트 이론 게슈탈트 이론 : 형태나 모양을 볼 때 인지하는 방식을 설명 [ 게슈탈트 이론 속 UI디자이너를 위한 핵심 ] 유사성의 원리 : 색/크기/모양 유사한 것들을 묶는 것 -> 사람의 구분이 더욱 쉬워짐 근접성의 원리 : 이웃해있는 요소들과 그렇지 않은 요소 구분 (그룹핑) 공통 영역의 원리 : 박스안에 요소를 같은 정보로 보는 것 연속성의 원칙 : 연속성을 띄는 물체에 대해 연관성..

공부/디자인 2023.12.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