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타켓 사용자와 그에 맞는 제품/서비스 정하기
<아이디어 구상과정>
- 가벼운 아주 가벼운 마음으로 만들어봐야지
- 저번에 다른 브랜드 작업에서 건강 관련 서비스를 만들 예정이기 때문에 이번에는 색다른 아이디어로 작업을 진행해야겠다
- 이번에는 옷/주얼리/여행 이런것처럼 개인에게 힐링을 줄 수있는 소재로 서비스를 만들고 싶다
- 주얼리
- 주얼리로 할 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
- 연인과 커플링 / 우정 반지 / 프로포즈 / 선물
- 주얼리 종류 : 반지/ 팔찌/ 목걸이/ 발찌 /귀걸이/ 시계
- 주얼리를 쓰면서 일상에서 있는 문제점?
- 일정 기간이 지나면 AS를 받기 힘들어진다
- 귀걸이를 한쪽만 잃어버려도 더 이상 쓸수가 없다
- 주얼리에서의 문제점은 딱히 없다... 패스
- 그러면 옷으로 가보자잉
- 비대면으로 옷을 구매시 문제점
- 입어보지 못한채 구매를 해서 교환시 그 과정이 복잡하다
- 교환처에서 빠르게 연락을 받지 못하는 경우 상당한 인내심이 필요하다
- 이상하게 옷 관련 서비스는 별로 끌리지 않는다...
- 그러면은 일단 내가 서비스를 만들 타깃먼저 정해야겠다
- 내가 생각하는 타깃?
- Z세대
- Z세대의 특징
- 공부에만 집중을 하던 이전의 M세대와는 다르게 새로운 시도들을 한다
- EX) 방학에 창업하기 (문구 사장), DIY취미 , 펀치니들 -> 이렇게 혼자서 무언갈 만들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도 하며 자신들만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 [아이디어] DIY를 현실에서 뿐만 아니라 온라인/모바일에서도 할 수 있을만한 플랫폼을 생각해보는건 어떨까?
- 어플을 만드는데, 그 어플 속에서 슬라임을 만드는?
- 슬라임을 만들면은 여러가지 다양한 재료들이 필요한데, 재료들을 일러스트로 하나하나 특징을 그려 작업을 하고 자기가 원하는 재료들을 넣어서 하나의 슬라임으로 정하고 그 묽기의 정도나 소리의 정도를 정하는거지!
- 이렇게 만든 슬라임을 가지고 누가누가 더 이쁘게 만들었는지 랭킹을 정해서 친구들과 함께 공유도 하고 만약에 이게 정말 마음에 들었다면은 실제 슬라임으로 제작을 해서 비즈니스 면에서는 새로운 이익을 창출해내는 거지
- 슬라임을 만든걸 가지고 그 안에서 작은 게임을 만들어서 진행을 하도록 하는건 어떨까
- 슬라임 -> 새로운 캐릭터 제작 -> 이 캐릭터를 통해서 친구들과 다양한 게임을 진행
- 뉴노멀 부캐시대를 형상화하는 새로운 방법일 수 있다.
- 요즘 10대들에게 각광받는 게임 : 갈틱폰, 디스코드
- -> 위 두게임들의 특징은 게임을 하면서도 서로가 소통이 가능하다는 점
- 이전의 M세대들은 음성으로만 통화를 선호했다면 Z세대들은 음성을 하면서도 함께 공유를 하고 나누는 과정을 선호한다.
- 그러면은 함께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플랫폼 서비스를 생각해보자
- 게임에서만 소통이 필요할까? -> 공부를 하면서도 휴식을 취하면서 여행을 하면서 필요할 수 있다
- 공부 EX) 열품타 (카메라), 채팅창 / 콴다
- 공유 작업이 필요시되는 일 : 팀작업, PPT, 발표준비 -> 팀으로 이루어진 작업을 할때 많이 필요하다
- PPT작업을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는 플랫폼은 어떨까?
- 요즘에 PT작업을 디자인 할 수 있는 플랫폼은 새로 생겨나고 있지만 공동으로 실시간 작업이 가능한 플랫폼은 없다.
- PT작업이 가능하면서도 동시에 사용자들과 화면 공유가 가능해서 같이 어떻게 디자인 방향을 나가야하는지 지속적인 발표를 할 수 있도록!
<구성 요소>
- 타깃 (Gen-z) / 특징 -> 어떤 특징을 활용해서 서비스를 만들었는지
- 요즘 젠지는 실시간 음성 공유를 통해 통화를 하면서도 자신이 보고있는 미디어나 다양한 콘텐츠를 나눠 보려고함 & 무언가 만드는 직접 DIY로 만드는 작업을 좋아함
- 서비스 (이름, 기능, 기대효과)
- 서비스 기능 : 공동 작업이 가능한 플랫폼 -> PT 공동 작업 플랫폼/실시간 소통 가능 / 실시간 디자인 공동 수정 가능(같은 아이템을 클릭할 수 없도록 실시간으로 누가 어떤 작업을 하는지 작은 아이콘을 통해 소통) / 디자인 수정뿐만이 아니라 발표 콘텐츠 또한 공유가 가능하도록
- 기대효과 : PT의 디자인 작업을 할때 가장 중요한것은 소통이라고 생각한다, 크기가 어떤지, 어떻게 수정하면 좋을지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효율적인 작업 과정이 예상됨
- 서비스 이름 : 공동으로하는 PPT라는 의미를 좀 더 더할수 있도록
- TEAM PT -> TEMPT
<PT순서>
- 첫 썸네일
- UX실제 사례
- 이번 발표 주제 썸네일 (소개)
- 타깃 선정 & 특징
- 서비스 소개 -> 기대효과
- 마지막 썸네일
728x90
반응형
'공부 > 전공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학년 연구 자료조사 Basic (0) | 2021.09.27 |
---|---|
다이나핏 광고 요소 선정 피드백 [ 광고디자인 과목 전공 ] (0) | 2021.09.24 |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유용한 UX (User's Experience)디자인 (0) | 2021.09.17 |
다이나핏 광고 요소 선정 [ 광고디자인 과목 전공 자료조사] (0) | 2021.09.17 |
막걸리 리브랜딩 선정 [ 브랜드 디자인 전공] (0) | 2021.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