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트렌드 코리아에서 제시한 10가지 트렌드 키워드 중 Z세대로서 공감되는 트렌드 키워드에 대해 선정해보고 이유와 사례를 함께 제시해보았다.
[ 선정 키워드 ]
- 러스틱 라이프
이유 : z세대의 특징 중 하나는 타인이 아닌 자신의 삶을 위해 산다는 것이다. 힐링을 위해 시골로 떠나는 사람들이 많아진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도시에서 할 수 있는 재미있는 놀이들에는 카페 가기, 맛집 가기, 핫플레이스 탐방 가기 등이 있겠지만 진정으로 요즘 시대에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나를 위한 마음의 휴식이다. 그렇기에 사람들이 북적북적하지 않은 시골에 가서 휴식을 취하고 그곳만의 정취를 느끼며 여유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느꼈기에 러스틱 라이프를 트렌드 키워드로 꼽게 되었다.
사례 : 유튜버 오느른
경험 : 도시에 살면서 집에만 있다보면, 매일 똑같은 풍경에 코로나 때문에 나가지도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뭔가 쉬어도 쉬는듯한 느낌이 들지 못해 여행을 계획하게 되었다. 유튜브를 통해 여행 브이로그를 찾아보다가 일반 호텔 숙소가 아닌 에어비엔비를 통해 실제 시골에 머무는 분들의 집에서 여유롭게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을 보게 되었고, 나 또한 이곳에서라면은 누군가의 간섭 없이 , 아무런 소음도 없이 여유를 즐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시골로 여행을 갔었던 경험이 있다.
- 헬시 플레저
이유 : 애플 워치와 같이 개인의 건강을 즉각적으로 볼 수 있는 전자기기가 등장하면서 개인의 건강을 챙기고자 하는 z세대가 늘어났다. 유튜브와 같은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평소 챙기지 못했던 좋지 못한 생활 습관으로 인해 병에 걸린 다양한 환자분들을 접하게 되면서 누구보다 건강에 대한 정보를 z세대들은 많이 얻게 되었고 그로 인한 걱정과 염려로 인해 건강을 많이 챙기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특히 틱톡을 통한 다양한 유형의 건강 챌린지가 퍼지면서 나를 드러낼 수 있는 플랫폼을 활용하면서도 개인이 얼마나 건강한지 보여주고 건강 프로필을 찍기도 하면서 1년의 목표를 만족스럽게 보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사례 : 고양시 건강 챌린지 프로젝트
경험 : 캐시 워크 [돈 버는 만보기 ] -> 캐시 워크는 걸으면서 돈을 벌 수 있는 효율적인 어플이다. 하루 종일 집에만 있을 경우 최대 200걸음도 걸었던 나였지만, 이러다가는 게으른 생활을 이어나가겠다는 마음에 동기부여를 주었던 어플이다. 캐시 워크를 사용하여 하루 만보 이상 걷게 될 경우 100원이라는 돈을 얻게 되는데, 이 돈을 차곡차곡 모으다 보면은 제휴된 브랜드를 통해 치킨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나의 건강 그리고 치킨을 위해서 열심히 어플을 사용 중이다.
- 바른생활 루틴이
이유 : 지금과 같이 학교를 가지 않고 강제적으로 시키면 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서로 함께 고민하고 나누면서 바른생활을 지키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대학생 들이라면은 다들 알겠지만, 학교에 가지 않아도 되기에 수업 10분 전에 기상을 한다거나 수업을 하는 중에도 집중을 하지 못해 딴짓을 하는 경험이 많았을 것이다. 하지만 투두 메이트나 열품타와 같이 지속적인 동기부여, 그리고 함께 공유하는 사람들과의 약속으로 인해 자신의 계획한 일을 지키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이와 같은 트렌드 키워드가 떠올랐다고 생각한다.
사례 : 열품타
경험 : 시험기간이 되면은 꼭 깔게 되는 어플이 있다. 그것은 바로 '열품타'! 열품 타를 사용하기 전에는 비교적 집중을 하는 시간이 짧고 딴짓을 하기 바빴었다. 그러던중 우연히 친구를 통해 열품타를 알게 되었고 이를 사용하면서 자투리 시간도 최대한 효율적으로 쓰고자 하는 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우선 열품타는 내가 원하는 그룹에 들어가서 그들과의 보이지 않는 경쟁 속에 누가누가 더 오래 하나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열심히 공부를 할 수 있으며, 매일매일 이루어지는 출석 체크 기능을 통해 강퇴를 할 수 있기에 더욱 열심히 공부를 했던 기억이 있다.
- 실재감 테크 (라이브 커머스)
이유 : 실재감 테크는 빠질 수 없는 키워드라고 생각된다. 이전부터 홈쇼핑 또한 라이브 방송으로 진행되었지만, 소비자와의 친밀한 소통을 기대할 수 없었다. 하지만 라이브 커머스라는 새로운 스트리밍 서비스가 진행되면서 소비자들은 호스트와 소통을 하면서도 실시간 참여 시 얻게 되는 쿠폰을 통해 또 다른 혜택을 받게 되었다. 그렇기에 많은 소비자들이 라이브 커머스를 참여하는 것이고 카카오톡, 무신사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또한 활용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사례 : 카카오 쇼핑
경험 : 무신사 라이브 : 무신사 라이브는 전문적인 호스트가 아닌 스타일링을 잘할 줄 아는 인플루언서가 등장을 해 옷을 홍보한다. 라이브를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모두가 해당 상품을 할인된 가격에서 구매할 수 있어 많이 참여를 하며 중간중간 이벤트 당첨을 통해 소비자에게 무료로 제품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주기 때문에 혹시나 하는 마음에 많이 이용을 했던 것 같다.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신사 서비스 사용경험 리서치 후기 (0) | 2022.12.22 |
---|---|
🎨2022년 UX/UI 디자인 트렌드 (0) | 2022.01.01 |
✨Better Normal Life 2022년 라이프 트렌드 알아보기 (0) | 2021.12.30 |
코로나19 이후 달라진 소비생활 알아보기! [전공 리서치] (0) | 2021.10.05 |
🤷♀️온라인 텔레스트레이션, 떠오르는 인싸게임 [갈틱폰] (0) | 2021.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