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산타토익, 새로운 AI기반 교육 플랫폼 시장이 온다!

RealisationZ 2021. 6. 19. 17:43
728x90
반응형

 

출처 :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105126757i

 

기사를 읽은 후의 summary와 insight

 

 

 

 

사진 = 산타 토익

 

Summary

 

산타토익: 누적 가입자 수 250만명,  2020500억 규모의 투자를 받은 교육 스타트업, 전세계 AI 기업 중 가장 유망     한 100개 기업 중 2021 국내 유일 선정 기업 -> 기존 오프라인 교육 콘텐츠와는 다른 AI 튜터 서비스를 통한 빅데이       터 기반 개인 학습 맞춤 콘텐츠 제공 -> 학습자의 문제 해결 능력의 솔루션으로 AI를 활용하여 공부 이외의 채점과       같은 외적 시간 소모의 감소를 통한 공부의 효율화 활성 ->디지털화된 교육 콘텐츠를 주로 사용하는 MZ세대 저격

 

AI기반 교육 플랫폼의 성공 요인 : 고객의 핵심적인 요구에 맞춘  AI빅데이터 기반의 분석 기술력 -> 보편적인

   학생들의 수준에 맞춘 교육이 아닌 개개인의 맞춤 해결책 제공을 통한 양방향적 소통 -> 고객의 높은 호응을 얻게 됨

 

▶ AI서비스에서 고려해야 하는 점은 현재의 AI 수준 인지와 분석을 통해 앞으로 발생할 AI 오류들에 대해 어떻게 대응     을 할지 예측을 하고 AI 고객서비스가 온전히 교육을 대체하기 보다는 하나의 보완하는 역할로써 사용이 되어야     한다.

 

Insight

 

▶비대면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AI 튜터링 시스템은 자칫 소홀해질 수 있는 오프라인 환경의 학습자 시간에 자기 주도       학습을 활성화 하고 개별 맞춤형 보충 및 평가 지도를 통하여 학습자 자신에게 적합한 공부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강요     된 학습이 아닌 개인의 꾸준한 동기부여와 공부의 흥미자극을 주는 콘텐츠를 통해 자기주도학습을 더욱 활성화 시킬     것이다.

 

▶인공지능 기반 교육 시스템의 한계는 코로나로 인해 대면이 어려워 사람간의 사회적인 만남이 어렵다 보니 자연스럽     게 사회성 결여라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인데, 후에 인공지능기술의 발전으로 공부를 하면서도 다른 학생들간     의 사회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한 기술을 만든다면 좋을 것이다.

 

▶AI튜터 현실적인 조언자로서의 역할은 불가능 하기에 얼굴 인식 시스템을 도입하여 학생들의 집중 시간과 흐트러      진 집중력에 대해 흥미를 끄는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듯 싶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