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2021 UX.UI 디지털 트렌드는? ( feat. 메타버스 )

RealisationZ 2021. 6. 8. 14:53
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__BnT_JnY4

 

디지털 디자인 트렌드 Summary & Insight

1. 메타버스

 

코로나로 인해 소비자들과의 직접적인 만남이 필요한 대면적 만남의 콘서트 행사가 취소되었고 여러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행사의 기획이 늘어나게 되었다.  그러면서 디지털 디자인 분야에서는 게임을 활용한 디자인의 수요도 늘어나게 되었다.

사진= 포트나이트

에픽게임즈는 트래브스 스콧의 가상 콘서트를 기획하였고 실제로 약 2,770만 명의 포트나이트 유저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며 게임을 활용한 디자인의 영향력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주목해야 하는 것이 바로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메타버스는 가상을 의미하는 메타와 현실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의 합성어로 이용자들은 가상의 공간 속에서 자신이 만든 아바타로 참여를 할 수 있다. 다양한 기업들은 이 메타버스 플랫폼에 관심을 기울이며 네이버 제페토, 엔시소프트 유니버스 등 국내의 여러 분야 기업들이 현재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에 주력을 가하고 있다.

사진 제공=네이버제트

 

2. 인공지능의 활용

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자인은 점점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음성 어시스턴트만을 활용해 인공지능을 이용했다면 이제는 인공지능의 시각화를 통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상에 나왔던 AI 휴먼 이마의 경우 이케아와의 콜라보 영상에서실제 사람인지 가상의 인물인지 착각을 일으키기도 할 만큼 사람과의 큰 유사성을 보이기도 했다.

유튜브 WKtokyo 캡처

 

인공지능의 시각화로 성격까지 설정하여 후에는 인간과 소통도 하며 친구의 존재로도 자리매김할 것이다. 이로써 인간과의 교감을 통해 디지털 휴먼으로서의 영역은 점차 넓어질 것이다.

3. 커스텀 디자인의 확대

이전 UX, UI의 디자인 트렌드 영상에서도 다크 모드에 대한 설명이 있었는데 이번 영상에서도 마찬가지로 다크 모드의언급이 있었다. 미래에는 다크 모드와 함께 사용자들이 직접 UI의 컬러나 레이아웃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설정을 할 수 있도록 변화할 것이다.

사진=매쓰플랫 (학습지 커스텀 기능)

 

4. 서스 테이너블 디자인

 

환경(Environment), 사회 (Social), 지배 구조 (Governace)를 뜻하는 ESG 경영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서스테이너블 디자인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게 되었고 이제는 기업의 ESG 활동이  제품의 구매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환경에 대한 관심과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서스 테이너블 디자인의 활동은 증가할 것이다.

사진=엄브로 

 

결론

 

올해의 다양한  디지털 트렌드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디지털의 유입을 통한 Z세대가 많아지면서 가상 세계를 통해 자신의 캐릭터를 아바타화하는 매타 버스 플랫폼에 대해 가장 주목을 해야 할 것 같다. 현실에선 할 수 없었던 제약 없는 무한한 이색적 활동은 누구에게나 흥미를 이끌기에 메타버스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소비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연기업들은 차별화를 위해 앞으로 어떻게 기업에서의 발전을 이룰지 기대가 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