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소비, 지속가능한 패션 생산 브랜드

RealisationZ 2021. 6. 26. 08:21
728x90
반응형

 

1. Tach

Tach (ssfshop.com)

 

SSF SHOP

트렌디한 라이프스타일을 찾는다면!

www.ssfshop.com

-> 우루과이에서 윤리적인 공정을 통해 옷을 생산해내며 면과 폴리에스터를 주 재료로 사용한 친환경적 패션 아이템들을 생산한다. 윤리적인 공정이란 공정 무역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노동자들과 생산자들의 권익을 보장하고 제품을 판매하고 생산하는 과정에서 환경을 고려한 제품을 의미한다. 과거 어린이들의 노동을 착취하여 제품을 만든 경우도 있었는데 이러한 경우가 공정무역의 거래에 어긋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2. 웨이브 유니온

WAVE UNION 웨이브유니온

 

WAVE UNION 웨이브유니온

본 결제 창은 결제완료 후 자동으로 닫히며,결제 진행 중에 본 결제 창을 닫으시면 주문이 되지 않으니 결제 완료 될 때 까지 닫지 마시기 바랍니다.

waveunion.kr

사진 = 웨이브 유니온

-> 'Make your own waves'라는 슬로건으로 다양한 스트릿 캐주얼 패션 브랜드를 제공하는 브랜드이다.  주로 100% 면이나 지속 가능한 소재 BCI 면을 활용하며  텀블과 텐더 처리과정을 거친 제품들이 많이 있다. 모든 제품이 다 환경을 고려한 제품은 아니지만 따로 웨이브 유니온의 서스테이너블 컬렉션을 론칭하여 제품을 선보인다. 이때 BCI란 면화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하여 생산자와 지역사회의 생활 개선을 지원하는 국제 비영리 단체를 말한다. 또한 페이지에 들어가 보면 sustainable short sleeve의 시리즈로 다양한 컬러의 제품들이 출시되며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으로 환경을 고려한 제품이라는 것을 인식시켜 주기도 한다.

3. MEUNDER

사진 = MEUNDER

친환경 언더웨어 라이프 스타일 미언더 / Better than Skin MEUNDER

 

친환경 언더웨어 라이프 스타일 미언더 / Better than Skin MEUNDER

 

-> '나와 지구를 위한 친환경 언더웨어 라이프'라는 로고로 전 세계적으로 매년 발생하는 수많은 양의 옷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적 소재를 사용한 속옷 브랜드이다. 친환경 재생 원료를 사용하여 환경으로 다시 되돌아갈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였다. 또한 제품과 함께 제공되는 행택의 경우 책의 책갈피나 냉장고의 자석으로도 재활용이 가능하여 소비자들에게 지속 가능한 소비에 대해 다시 상기시켜줄 수 있는 리마인더의 역할도 한다.

 

4. H&M

지속가능성 | H&M KR (hm.com)

->패스트 패션 브랜드라는 이유로 사람들의 수많은 비난을 받았던 브랜드 H&M에서도 지속 가능한 제품 생산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패스트 패션의 경우 대량 생산으로 무수히 많은 옷들을 많이 제공을 하지만 정작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지 못한 제품들은 그대로 버려지거나 빠른 유행의 변화로 인해 그대로 환경의 오염을 초래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랬던 H&M이 슬로우 패션에 관심을 보이며 지역의 경제 개선에도 도움을 주는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게 되었다. 본사 홈페이지에 따르면 H&M에서는 옷의 염색을 하는 과정 동안 불필요한 세척 과정을 없애 물의 낭비를 줄이고 화학 제품의 사용을 줄여 주변 농부들의 재배 환경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장려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비닐봉투의 사용 대신 종이, 코튼이나 재활용 폴리에스터로 생산된 쇼핑백을 구비하여 일회용 포장지의 사용을 최소화 하였다. 운송의 과정에서도 해상 운송에서 사용되는 화석연료 대신 바이오 연료 블렌드를 사용함으로써 운송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도록 노력하였다. 이렇게 H&M에서는 옷의 소재에 신경을 쓰는 것 뿐만아니라 생산의 과정 그 시작부터 소비자에게 배송이되는 가정까지 환경을 고려함으로써 기존 패스트패션 브랜드라는 수식어에서 벗어나 새로운 슬로우 패션 브랜드로써 자리매김을 할 것으로 보인다.

지속가능성 | H&M KR (hm.com)

 

5.ZARA

JOIN LIFE | ZARA 대한민국

 

JOIN LIFE | ZARA 대한민국

 

www.zara.com

H&M에 이어서 자라를 소개한 이유는 우리가 그동안 알았던 패션 브랜드에서도 이러한 지속 가능한 패션 브랜드에 관심을 보임으로써 환경에 대해 어떻게 대응을 하는지, 기업의 태도에 따라 소비자들의 소비 선택 범위가 바뀐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선택을 하게 되었다. 자라에서는 정말 다양한 지속 가능한 소비를 위한 챌린지와 실천을 진행하고 있다. 산림에 피해가 가지 않는 대체 섬유인 모달과 비스코스와 함께 오가닉 코튼과 폴리에스터의 원자재를 사용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소비에 신경을 썼다. 또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할 때 환경 기준에 충족하지 않는 화학물질의 배출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소비자들도 직접 지속가능한 소비에 참여하도록 매장 내에 헌 옷 수거함을 설치하여 옷의 재사용을 추구하고 있으며 물과 에너지의 소비를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하여 환경 효율적인 매장을 설계하였다. 환경을 고려한 소비라면 소비를 최대한 하지 않는 것이 좋겠지만 소비자들도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활동과 함께 기업에서 환경을 고려한 제품의 생산방식을 선택한다면은 앞으로 우리가 만드는 의류로 인한 쓰레기의 절반 이상이 사라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728x90
반응형